늘곁애라이프온
  • 늘곁애
  • >
  • 홍보채널
  • >
  • 장례정보

장례정보

현대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3일장을 기본으로 하므로 사망 후 당일로 수시(收屍)를 행하게 되고, 사망한 다음날 습(襲)이 끝나면 바로 소렴을 하고 입관까지 하게 되어 염습의 과정이 2일째 한꺼번에 이루어지고, 3일째 발인을 하게 된다.

funeralInfo01_Img01

천거정침(遷居正寢)

  • 위독하면 병원에 입원하기도 하나 가능하면 자기의 집 평소 자기가 쓰던 방에 모신다. 머리가 동쪽으로 가게 눕힌다.
  • 자기가 평소에 살던 곳에서 죽음을 맞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기 때문이다.
  • 환자가 보고 싶어 할 사람과 환자를 보아야 할 사람에게 연락한다.
  • 환자가 혼자 있지 않도록 가족이 항상 곁을 지키되 조용하게 한다.
  • 집의 안팎을 정돈하고, 만일의 경우 숨졌을 때 알려야 할 곳을 기록해 정리하며 가족들이 하는 일도 죽음에 대비해 준비한다.
  • 환자의 마지막 유언을 잘 들으며 유서가 있으면 챙긴다.
  • 환자의 더러워진 옷을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힌다.
  • 가능하면 의사가 환자의 곁을 지키게 하고, 아니면 환자의 입이나 코 위에 탈지면(脫脂綿)이나 솜을 얇게 펴서 올려놓아 숨지는 것을 알 수 있게 한다.
  • 자손과 근친들이 환자 곁에서 엄숙하게 지킨다.

운명·거애(殞命·擧哀)

  • 환자가 숨을 거두면 의사를 청해 사망을 확인하고 사망진단서를 받는다.
  • 사망이 확인되면 지키던 근친들은 슬픔을 다한다. 옛날에는 소리 내어 우는 곡(哭)을 했으나, 현대는 일부러 소리 내어 곡을 할 필요는 없고, 그렇다고 자연스럽게 나오는 울음소리를 억제할 필요도 없다.
  • 가까운 근친들에게 연락해 오는 대로 죽은 이를 보고 슬픔을 다한다. 평소에 죽은 이를 보지 않던 이성(異性)은 구태여 죽은 이를 볼 필요는 없다.
  • 죽은 이의 방은 비우지 않는다.
  • ※ 요즘은 병원에서 운명하면, 의사가 사망을 확인한 후 바로 안치실로 모시고 수시(收屍) 후 냉장실에 모신다.

복·초혼(復·招魂)

  • 죽은 이의 직계 자손이 아닌 한 사람이 죽은 이의 웃옷을 들고 지붕에 올라가서 북쪽을 향해 옷을 흔들며 죽은 이의 칭호를 세 번 부르고, 내려와 그 웃옷을 죽은 이의 가슴에 덮는다.
  • 이것은 죽은 이의 몸을 떠난 영혼을 다시 불러들이려는 주술적인 안간힘인바 현대에는 할 필요가 없다.(누구 복, 누구 복, 누구 복)

수시(收屍)

  • 주검을 반듯하게 갈무리하는 절차이다.
  • 남자주검은 남자 근친이 하고, 여자주검은 여자 근친이 한다.
  • 수시의 시기는 죽은 때로부터 약 1시간이 지난 후가 좋다. 너무 늦으면 안 된다.
  • 눈을 쓸어내려 잠자듯이 감긴다.
  • 주검을 머리가 남쪽으로 가게 방의 한쪽에 반듯하게 눕힌다.
  • 발바닥을 벽이나 상자 등에 붙여서 반듯하게 한 다음 두 발끝을 모아 백지나 붕대로 묶고, 무릎을 펴서 붕대나 백지로 묶는다. 두 손은 배위로 모아 흉사시의 공수를 시켜 붕대나 백지로 묶고, 머리를 반듯하게 유지시킨다. 입에는 젓가락 등에 솜을 말아 물려서 오므려지지 않게 하고, 솜으로 귀를 막고 가제로 코와 입을 덮어 곤충이 들어가지 못하게 한 다음 홑이불로 얼굴까지 덮는다.
  • 시신(屍身주검)앞을 병풍이나 장막(帳幕)으로 가리고, 그 앞에 향상(香床)을 차리고 향을 피우며, 두 개의 촛대를 좌우에 세우고 촛불을 켠다.
  • 방안의 지저분한 것들을 치운다.

부고(訃告)

  • 가까운 친척과 친지들에게 상이 났음을 알리는 것으로 호상이 상주와 의논하여 진행하며, 사망시간 및 장소, 발인일시, 발인장소, 장지, 상주와 상제 등을 기록한다.

화장시설 예약

  • 화장 시 인터넷으로 화장예약을 신청한다.